본문내용
        식생토낭 개요
    
    
        친환경 식생토낭과 상호 결속재를 이용하여 안정적인 구조물을 축조하여 옹벽 전면에 다양한 녹화가 가능하며 지형 여건에 간섭없이 영구 구조물을 구축하는 공법입니다.
    
    
친환경
- 식생토낭 내부에 녹화종자 부착 발아로 자연 생태복원
 - 하천 정화작용 및 동ㆍ식물 서식환경 개선
 - 콘크리트에 비해 약 96%의 Co2 감소 효과
(한국환경산업기술연구원 국가 LCI데이터베이스 정보망) - 경관 이미지 효과
 - 미세먼지 감소 효과
 
안전성
- 식생토낭의 원단이 특수 섬유재로서 반영구적
 - 주 재료가 흙으로서 지진 등 외부 충격에 연성적 반응
 - 구조물 변형이나 균열발생이 없고 보강재와 결합 능력 우수
 - 식생 후 뿌리의 결속력이 사면 안정성 확보
 - 중력의 작용으로 침하나 전도의 위험 감소
 - 시공 후 시간이 지날수록 강도가 증가되며 내진에 강한 공법
 
경제성
- 현장내 토사 활용으로 예산절감
 - 장비 투입 용이하고 시공이 간편하여 비용절감 효과
 - 토사 주입장치 사용으로 공기단축 효과
 - 타 공법과 상호보완이 용이하다.
 
옹벽
경사면
하천
배수로
        식생토낭 제품구성
    
	
    
옹벽
경사면
        공법의 특징(안전성)
    
	
    보강토 옹벽 구조계산 해석의 안전성
			연성 내진구조체로서 부등침하 및 동적 하중에 내성이 강하여 안정적입니다.
		
		
				▶ 후면채움재에 배치, 보조구유닛과의 연결
				
		- 후면채움재의 하중을 유닛과 연결, 구조물의 안정도를 높임 (그림참조)
- MSE 보강토 공법에 근거한 구조안정도 실현
H : 5M 옹벽 설계예시
구조해석프로그램(MESW 2.0) 해석 결과
        뿌리에 의한 2차 결속력
    
	
    


 식생토낭공법
	



